2025 긴급돌봄 아이돌봄 지원사업 신청방법 완벽 정리 가이드 - 정보저장소
재테크·금융 / / 2025. 8. 31. 07:19

2025 긴급돌봄 아이돌봄 지원사업 신청방법 완벽 정리 가이드

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

 

갑작스러운 야근, 보호자의 부상 등 예고 없이 돌봄 공백이 생기면 막막합니다. 이럴 때 활용하는 제도가 바로 긴급 돌봄 수당·지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긴급돌봄 지원사업(성인 재가돌봄)과 여가부 아이돌봄 긴급돌봄(아동 돌봄)을 비교해, 신청 방법, 대상, 이용요금, 실제 이용 순서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해당 내용 확인하고, 아이돌봄, 긴급돌봄이 필요한 가정에서는 바로 신청하셔서 돌봄 공백을 메우세요.

 

 

Contents

     

    긴급돌봄 수당 지원, 어떤 제도일까요?

    긴급 상황에 단기간 제공되는 돌봄을 말합니다. 성인 대상은 보건복지부 ‘긴급돌봄 지원사업’을 통해 재가돌봄·가사지원·이동지원·방문목욕을 이용하고, 아동 대상은 ‘아이돌봄 긴급돌봄(단기/긴급)’으로 2시간 전까지 돌보미를 연계받을 수 있습니다.

     

    각 제도는 신청 창구·요금 체계가 다르니 아래 비교표로 먼저 확인하세요.

     

    구분 성인 긴급돌봄
    (보건복지부)
    아동 긴급돌봄
    (아이돌봄)
    대상 주 돌봄자 부재·질병 등으로 일시적 돌봄이 필요한 19세 이상(예외 지원 가능) 만 12세(장애·다자녀 등 예외 상향)까지 가정 아동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아이돌봄 누리집에서 단기/긴급 신청
    제공 재가돌봄·가사·이동·방문목욕(지역별 상이) 가정방문 아동 돌봄(등·하원, 놀이·활동, 간단식사 등)
    요금/수당 시간당 공식 단가 적용 + 본인부담 (소득구간별 차등/면제) 시간당 요금 + 정부지원율(소득·가구유형별) + (야간/주말 할증)

     

    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

     

    성인용 긴급돌봄 지원사업 상세

    성인용 긴급돌봄의 지원대상은 주 돌봄자의 사망·입원·부상 등으로 짧은 기간(최대 72시간) 가정 내 돌봄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서비스는 하루 8시간 이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원칙적으로 30일 이내에 사용(지자체 판단 시 추가 연장 가능)합니다.

     

    소득기준 자체 제한은 없지만 기초생활/차상위는 면제, 중위소득 160% 초과는 전액 자부담본인부담건강보험료 구간에 따라 차등됩니다.

     

    시간(2025) 공식 단가 메모
    1.0h 25,000원 0.5h 단위 최소 1h부터
    2.0h 42,000원 가사지원/이동 동행 포함
    4.0h 68,000원 반나절
    6.0h 101,000원 권장 패키지
    8.0h 136,000원 일 최대

     

    예시: 3일간 하루 6시간 이용 시 공식 단가 101,000원 × 3일 = 303,000원입니다. 본인부담은 가구 소득구간에 따라 달라집니다(수급·차상위는 0원).

     

    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

     

    아동용 아이돌봄 긴급돌봄

    단기/긴급 신청을 통해 서비스 시작 2시간 전까지 접수 가능(일반 단기는 4시간 전)하며, 돌보미가 30분 내 수락하지 않으면 자동 취소됩니다. 야간(22:00~06:00)에는 접수 제한 구간이 있으나 이용 자체는 가능합니다.

     

    결제는 예치금에서 차감되며, 정부지원율(소득·가구유형별)과 야간/주말 할증이 적용됩니다.

     

    아이돌봄 긴급 돌봄 지금 신청하기 >

     

     

    신청 방법 및 필요서류

    1. 성인의 경우, 복지로 또는 행정복지센터를 이용하면 되고, 아동의 경우, 아이돌봄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2. 긴급성(한시성)·돌봄 필요·다른 서비스 중복 여부 등 신청 자격을 확인해 주세요.
    3. 신분증, 신청서, 긴급 사유 입증자료(입·퇴원 확인, 진단서 등) 등 서류를 준비해 주세요.
    4. 성인의 경우, 전자바우처를 발급받으시면 되고, 아동의 경우, 돌보미 배정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5. 이용·정산: 본인부담 차등(성인) / 정부지원율·할증 적용(아동)

     

    성인 긴급돌봄 복지로에서 바로 신청 >

     

    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

     

    자주 묻는 질문(FAQ)

    Q1. ‘긴급 돌봄 수당’을 현금으로 받나요?
    A. 성인 긴급돌봄은 서비스(인력) 제공 방식이며 시간당 단가·본인부담 체계입니다. 아동 긴급돌봄은 아이돌봄시간 요금에 정부지원율이 적용됩니다.

     

    Q2. 소득기준이 있나요?
    A. 성인은 소득제한은 없지만 본인부담 차등(수급·차상위 면제, 중위 160% 초과 전액 부담 등)이 있고, 아동은 정부지원율이 소득·가구유형별로 달라집니다.

     

    Q3. 몇 시간까지 쓸 수 있나요?
    A. 성인은 최대 72시간(일 8시간 한도)이며, 아동 긴급은 2시간 전까지 신청 가능·30분 내 미배정 시 자동 취소됩니다.

     

     

    결론

    긴급돌봄 수당과 아이돌봄의 핵심은 빠른 신청입니다. 성인은 복지로·행정복지센터, 아동은 아이돌봄으로 즉시 접수하고, 우리 가정 소득구간·가구유형에 맞는 본인부담·정부지원율을 확인하세요.

     

    긴급 돌봄 수당은 현금이 아니라 돌봄 서비스를 빠르게 쓰게 해주는 안전망이라는 점만 기억하면 됩니다.

     

    성인 긴급돌봄 지금 신청하기 >

     

    아동 긴급돌봄 바로 신청하기 >

     

     

    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
    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긴급돌봄-아이돌봄-지원사업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