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을 할 때 알아두면 좋은 버핏 지수 의미, 확인 방법 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버핏 지수는 오마하의 현인이라고 불리는 유명 투자자 워런 버핏이 즐겨 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어떤 수식으로 계산을 하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Contents
📌 알아두면 좋은 정보
🔎 S&P500 지수 텐배거(열 배) 달성
🔎 ISA 계좌의 모든 것
🔎 AI 발전에 의한 데이터센터, 전력 급증 이유버핏 지수 의미
버핏 지수(Buffett Indicator)는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미국 증시에 상장된 기업 전체의 시가총액을 측정한 지표입니다.
버핏 지수 = (전체 시가총액 / 국내 총생산(GDP)) X 100
오하마의 현인인 워런 버핏이 가장 좋아하는 주식 시장 평가 지표여서 버핏 지수라고도 불립니다.
통상적으로 이 버핏지수가 80% 이하이면 주식 시장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합니다. 반면, 120%가 넘으면 주식 시장이 고평가 되었고, 과열되었다고 생각하죠.
- 80% 이하 저평가
- 120% 이상 고평가(과열)
닷컴버블 당시 이 버핏 지수는 약 130~140% 정도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다가 하락장을 맞이했죠.
그리고 COVID-19 이후 시장에 어마어마한 돈이 풀리고 금리가 인하되면서 주식 시장이 과열되었을 때의 버핏 지수는 197%까지 올라갔죠. 2021년 11월에 버핏지수가 정점을 찍은 후, 주식시장은 1년 간 하락장을 경험했습니다.
오래되긴 했지만 2001년 포춘 기사에서 워런 버핏은 버핏 지표를 "특정 순간 가치 평가를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단일 척도"라고 말했습니다.
버핏 지수 확인 방법
버핏 지수 보는 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의 MacroMicro 사이트에서는 주기적으로 버핏지수를 업데이트해줍니다. 아래의 사이트로 이동해서 버핏 지표를 확인해 보세요.
버핏지수 현재 현황
2024년 7월 말 기준 버핏지수는 195%로 직전 최고치에 매우 가까워졌습니다. 주식시장이 매우 과열된 상태라는 뜻이겠죠.
기술주는 일반 가치주에 비해 고평가를 받고, 최근에는 이 기술주들이 시장을 이끌고 있기 때문에 과거의 기준으로 버핏 지수를 바라보는 것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지표만을 가지고 일차원적인 판단을 하는 것도 무리가 있기에 다른 근거도 참고하여 통합적인 분석이 필요하긴 합니다.
하지만 버핏 지표가 주요 경제 지표임에는 틀림이 없기 때문에 해당 지표를 잘 관찰하여 시장에 대응할 필요는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글
2024년 미국 주식 휴장일, 조기 폐장일, 서머타임 확인하세요 (미국 증시 휴장)
2024년 미국 주식 휴장일, 조기 폐장일, 서머타임 확인하세요 (미국 증시 휴장)
금리 인하와 함께 미국 주식이 상승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올해 미국 주식 투자를 계획 중이신 분들은 2024년 미국 주식 휴장일, 조기 폐장일, 서머타임 적용 일정을 확인해보세
tip.info-247.kr
세액 공제를 위한 연금저축, ISA, IRP 차이 비교 (연말정산, 절세 효과 꿀팁)
세액 공제를 위한 연금저축, ISA, IRP 차이 비교 (연말정산, 절세 효과 꿀팁)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금저축, ISA, IRP 계좌의 차이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연말정산, 절세 효과를 노리시는 분들은 꼭 보셔야해요. 세액 공제를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하는 연금저축펀드, IRP, ISA에
tip.info-247.kr
유튜브 프리미엄 무료 체험 및 무료 이용 방법 (최신 정보)
유튜브 프리미엄 무료 체험 및 무료 이용 방법 (최신 정보)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튜브 프리미엄 무료 체험 또는 무료 이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요즘 유튜브를 이용하지 않는 분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죠. 유튜브는 예능, 음악, 영화, 다큐, 먹방
tip.info-247.kr
S&P500에서의 텐배거(ten-bagger) 달성: 장기 투자의 보상
S&P500에서의 텐배거(ten-bagger) 달성: 장기 투자의 보상
S&P500 지수에 장기 투자를 할 경우, 우리는 언제쯤 텐배거(ten-bagger) 달성이 가능할까요? S&P500에서의 텐배거 달성, 더 나아가 100배 달성에 대한 칼럼 글이 있어서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안정적
tip.info-247.kr
'재테크·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발전에 의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이유 및 현황 (0) 2024.06.26 상장 이후 주가가 약 5,900배 상승한 기업, 엔비디아(NVDA) (5) 2024.06.19 ISA 계좌의 모든 것! ISA 통장 혜택(장점), 계좌 구분 및 가입 조건 (0) 2024.04.30 S&P500에서의 텐배거(ten-bagger) 달성: 장기 투자의 보상 (1) 2024.04.29 국채, 국채 금리, 주식에 미치는 영향: 재테크 초보자를 위한 기초 (1) 2024.04.26